– SVB의 파산은 자산 포트폴리오의 편중과 취약한 내부 위험관리시스템이 원인 – PF 대출 채권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저축은행, 보험사, 증권사 동반 부실 위험 – 펀드슈퍼마켓 : 예금자 보호받는 예탁금으로 현금자산 보관, PF 등 부실자산 투자 X, 판매·수탁·운용을 분리한 펀드 라인업으로 부실 위험 최소화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으로 촉발된 뱅크런 사태가 미국, 유럽 금융 시스템으로 번질 가능성마저 제기되고 있습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자산 등에 관한 위험이 거론되면서 국내에도 위기감이 번지고 있는데요. 그럼에도 펀드슈퍼마켓 등은 구조적으로 관련 위험에서 벗어나 있어 우려할 필요가 없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어요.
SVB 사태 이후, 흔들리는 은행권
3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JP모건은 미국 은행들이 예금 인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자체 준비금을 사용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미국 중앙은행(Fed)은 3월 한 달 간 미국 은행에서 3,000억(약 394조원) 달러가 빠져나갔다고 집계했는데요. JP모건은 이 중 대부분이 머니마켓펀드(MMF)로 유입됐다고 추정했어요.
미국 정부는 은행권 위기 관련 후속 조치에 힘을 쏟고 있어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SVB과 시그니처은행의 파산 원인이 느슨해진 은행 관리·감독에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또, 자산 규모가 1000억~2500억 달러인 은행에 대한 관리 감독을 강화할 것을 금융당국에 지시했어요.SVB 파산과 은행 부실 위험의 원인
SVB의 파산은 자산 포트폴리오의 편중과 취약한 내부 위험관리시스템 때문이었어요. 초저금리 때 매입한 장기물 국채 가치가 금리 상승기에 떨어지면서 부실을 키운 걸로 분석되는데요. 보유 자산 중 ‘만기보유증권’으로 분류된 자산은 금리가 상승해도 회계상 손실로 처리되지 않아요. 이자수익이 꾸준히 발생하므로 대차대조표에는 안전자산처럼 보이는 거죠.
증권사는 안전할까?
그러나 비은행권의 사정은 다릅니다. 금리 상승으로 보유 자산의 가격 하락 위험이 커졌고, 자산을 재금융화하는 과정의 자금 조달 여건은 더 어려워졌기 때문이에요. PF 대출 채권을 기초자산으로 발행하는 유동화 증권이 대표적인 리스크 자산으로 거론되는데요. 이를 보유하고 있는 저축은행, 보험사뿐 아니라 해당 증권을 발행할 때 신용 보강을 하는 증권사도 동반 부실 위험에 노출되어 있어요.